서버 구축 및 DB 다루기

서버는 https://jimnong.tistory.com/612 을 참조하여 구축하였습니다. 78 project의 경우, 웹사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SSL 인증서는 발급 받지 않았습니다.

WIFI는 여러 대의 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여러 port가 존재합니다. 하지만 port의 수 역시 유한하기 때문에, WIFI에 연결 시 공유기가 유동적으로 port를 할당합니다.

이러한 특성 때문에, WIFI에 새로 연결 될 때마다 새로운 내부 IP 주소가 할당됩니다. 78 project의 경우, 실시간으로 DB에 값을 업로드하고 다운받아야하기 때문에, 서버가 유동적 IP 주소를 가진다는 것은 문제가 됩니다.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, 서버 구축 시 port folding을 통해 서버가 일정한 내부 IP 주소를 가지도록 하였습니다.

포트 포워딩 및 방화벽 해제는 해당 사이트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.
https://www.lifewire.com/how-to-port-forward-4163829
https://bit.ly/33zjBgz

서버 IP 주소 : 192.168.31.114
Apache Port : 80
mysql Port : 3306

설치 된 my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테이블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. 해당 mysql 강의를 참고하였습니다.
https://opentutorials.org/course/3161/19532

광고

답글 남기기

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:

WordPress.com 로고

WordPress.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. 로그아웃 /  변경 )

Twitter 사진

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. 로그아웃 /  변경 )

Facebook 사진

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. 로그아웃 /  변경 )

%s에 연결하는 중